접속아이피 :  3.141.167.128
  • 크게
    작게
    기본
    --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보안코드를
     입력 하세요.
    개인정보취급동의

    손님 (52.♡.144.230)
    손님 (57.♡.4.8)
    손님 (57.♡.4.16)
    손님 (3.♡.232.239)
    손님 (57.♡.4.12)
    손님 (61.♡.94.135)
    손님 (57.♡.4.15)
    손님 (57.♡.4.10)
    손님 (52.♡.144.172)
    손님 (40.♡.167.56)
    손님 (57.♡.4.17)
    손님 (57.♡.4.7)
    손님 (52.♡.144.138)
    손님 (207.♡.13.126)
    손님 (57.♡.4.2)
    손님 (157.♡.39.195)
    손님 (57.♡.4.25)
    손님 (57.♡.4.24)
    손님 (66.♡.79.97)
    손님 (66.♡.79.96)
    손님 (57.♡.4.26)
    손님 (57.♡.4.1)
    손님 (57.♡.4.5)
    손님 (57.♡.4.19)
    손님 (57.♡.4.22)
    손님 (57.♡.4.14)
    손님 (40.♡.167.74)
    손님 (40.♡.167.15)
    손님 (40.♡.167.58)
    손님 (57.♡.4.3)
    손님 (57.♡.4.11)
    손님 (57.♡.4.23)
    손님 (57.♡.4.30)
    손님 (207.♡.13.31)
    손님 (57.♡.4.9)
    손님 (57.♡.4.29)
    손님 (207.♡.13.116)
    손님 (57.♡.4.27)
    손님 (57.♡.4.13)
    손님 (52.♡.144.142)
    손님 (52.♡.144.237)
    손님 (57.♡.4.28)
    손님 (57.♡.4.21)
    접속자 53명 (M:0 / G:53)
    설문조사
    배우자에게 상속재산의 50%를 상속하도록 하는 민법개정을 어떻게 생각하나요?

    [상속지식]-[상속지식]-상속개시 있음을 안 날-상속포기를 위한 고려기간의 기산점으로서 민법 제1019조 제1항에 규정된 '상속개시 있음을 안 날'의 의미
    작성자 : 법무법인다정 | 작성일 : 12-02-02 | 조회:5,271
    게시물 출력을 원하시면 좌측 프린터 아이콘을 클릭 하세요.
    법률문제로 어려움에 처한 모든 분들게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상담전화 : 02-587-1252  자세한 상담을 원하시면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모든 상담은 변호사법에 의거 비밀로 진행 됩니다.
    [상속지식]-상속개시 있음을 안 날-상속포기를 위한 고려기간의 기산점으로서 민법 제1019조 제1항에 규정된 '상속개시 있음을 안 날'의 의미

    1. 상속포기를 위한 고려기간의 기산점으로서 민법 제1019조 제1항에 규정된 '상속개시 있음을 안 날'의 의미 및 상속인이 상속개시의 원인사실을 앎으로써 자신이 상속인이 된 사실까지도 알았다고 볼 수 있는 경우
     
    상속인은 상속개시 있음을 안 날로부터 3월 내에 상속의 포기를 할 수 있는바( 민법 제1019조 제1항), 여기서 상속개시 있음을 안 날이라 함은 상속개시의 원인이 되는 사실의 발생을 알고 이로써 자기가 상속인이 되었음을 안 날을 말한다고 할 것인데, 피상속인의 사망으로 인하여 상속이 개시되고 상속의 순위나 자격을 인식함에 별다른 어려움이 없는 통상적인 상속의 경우에는 상속인이 상속개시의 원인사실을 앎으로써 그가 상속인이 된 사실까지도 알았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나, 종국적으로 상속인이 누구인지를 가리는 과정에 사실상 또는 법률상의 어려운 문제가 있어 상속개시의 원인사실을 아는 것만으로는 바로 자신의 상속인이 된 사실까지 알기 어려운 특별한 사정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러한 때에는 법원으로서는 '상속개시 있음을 안 날'을 확정함에 있어 상속개시의 원인사실뿐 아니라 더 나아가 그로써 자신의 상속인이 된 사실을 안 날이 언제인지까지도 심리, 규명하여야 마땅하다.
     

    2. 선순위 상속권자인 피상속인의 처와 자녀가 상속을 포기하여 그 다음의 상속순위에 있는 손자녀가 상속인이 되는 경우, 상속인이 상속개시의 원인사실을 아는 것만으로 자신이 상속인이 된 사실을 알기 어려운 특별한 사정이 있다고 본 사례
     
     
    선순위 상속인으로서 피상속인의 처와 자녀들이 모두 적법하게 상속을 포기한 경우에는 피상속인의 손(손) 등 그 다음의 상속순위에 있는 사람이 상속인이 되는 것이나, 이러한 법리는 상속의 순위에 관한 민법 제1000조 제1항 제1호(1순위 상속인으로 규정된 '피상속인의 직계비속'에는 피상속인의 자녀뿐 아니라 피상속인의 손자 녀까지 포함된다.)와 상속포기의 효과에 관한 민법 제1042조 내지 제1044조의 규정들을 모두 종합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비로소 도출되는 것이지 이에 관한 명시적 규정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어서 일반인의 입장에서 피상속인의 처와 자녀가 상속을 포기한 경우 피상속인의 손자 녀가 이로써 자신들이 상속인이 되었다는 사실까지 안다는 것은 오히려 이례에 속한다고 할 것이고, 따라서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피상속인의 손자녀가 상속인이 된 경우에는 상속인이 상속개시의 원인사실을 아는 것만으로 자신이 상속인이 된 사실을 알기 어려운 특별한 사정이 있다( 2003다43681 판결)  
      힘들고 어려운 일이 있더라도 기운 내십시요. 다정법률상담소는 당신을 응원합니다.
      [상속분쟁]에 관한 자세한 상담을 원하시면 언제든지 상담전화(02-587-1252)로 연락주시거나
      저희 사무실로 방문하시어 보시길 바랍니다.
      명쾌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야간,휴일 긴급전화 : 010-5485-1252
      모든 상담은 변호사법에 의거 비밀로 진행 됩니다.
     ▶ [상속분쟁] 빠른상담 신청하기
    ※ 비공개 법률상담 진행  
    상담분야 상속대행  상속분쟁  상속포기  한정승인  상속등기  상속세금 
    이     름 연 락 처  -  - 
    내용입력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왼쪽 보안코드 입력
        개인정보취급동의
       
    이 글을 읽은 사람들이 본 다른 글들
       
     
      다정법률상담소의 철학은 의뢰인을 행복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의뢰인 중심!
    의뢰인들이 진정으로 행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1/3
    [상속분쟁]-10억대 유산
    [상속재산분할]-상속지
    [상속변호사]-상속-인지
    [상속분쟁]-상속순위-나
    [상속]-상속지식-상속의
    [상속분쟁]-상속문제와
    [상속재산분할]-불성립-
    전체게시물: 9,713 게시물24시: 0 오늘방문자: 117 어제방문자: 1,109 최대방문자: 3,703 전체방문자: 4,032,642 전체회원수: 7